주최: 문화체육관광부/ 주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16 문화상품 포럼 - 박물관 문화상품의 미래 >
1. 행사개요
ㅇ 제 목 : 박물관 문화상품의 미래(Futuring Museum Merchandising)
ㅇ 일 시 : 2016년 12월 20일(화), 오후 13:00~17:30
ㅇ 장 소 : 국립민속박물관 강당(198석)
ㅇ 목 적 : 전문가 초청 강연 및 토론을 통한 박물관 문화상품의 중·장기 사업 방향 모색
ㅇ 내 용 : 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가지원 정책 사업으로서 문화상품(머천다이징)이
갖는 효과적 측면과 이의 확장성에 대한 논의로써 박물관 플랫폼을 기반으로
발제 및 토론
ㅇ 참석자 : 문화산업 및 문화예술 관련 분야 종사자, 박물관 및 문화재 정책, 학예 연구자, 관련 분야
연구자(일반인, 대학생 포함), 박물관 문화상품 기획 및 개발자
2. 프로그램
구 분 |
시 간 |
행사 내용 |
비고 |
개회 |
12:30~13:10 |
참가자 등록 및 자료집 배포 |
한국공예·디자인 문화진흥원 |
13:10~13:30 |
사회 및 인사말 |
||
좌장 :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종은 부연구위원 |
|||
발제 |
13:30~14:00 |
박물관 소장품의 컨텍스트와 기억의 재구성 |
김대환 학예연구사 국립중앙박물관 |
14:05~14:35 |
박물관 문화상품의 과거와 현재 - 왜 박물관 문화상품인가? |
김현경 연구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
14:40~14:50 |
휴 식 |
||
14:50~15:20 |
박물관의 확장된 소통을 위한 아트-콜라보레이션 |
김용주 디자인전문경력관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1실 |
|
15:25~15:55 |
한국 박물관 문화상품 방향성 모색 |
김대성 교수 경일대학교 모마스토어 입점디자이너 |
|
16:00~16:30 |
공예 디자인 융·복합 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상품 |
조기상 대표 아우로이 공예문화상품디렉터 |
|
좌담회 : 박물관 문화상품의 미래 |
|||
토론 |
16:35~17:05 |
박물관 문화상품 미래 발전 방향 모색, 이를 통한 문화가치 확장 가능성 논의 |
1, 2부 강연자,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국립박물관문화재단, 한국문화재재단 |
폐회 |
17:05~17:30 |
폐회 및 자유 네트워킹 |
한국공예·디자인 문화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