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일정표
일시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5.18
수
?
?
?
<국내초청작>
이광석
이현범&최진주,
유호식
8 PM
5.19
목
<해외초청작/호주>
Chunky Move
?
8PM
?
?
<국내초청작>
이광석
이현범&최진주,
유호식
6 PM
5.20
금
?
강진주
김은정
임민희
김희중
?
?
6 PM
<해외초청작/일본>
Mitsutake Kasai
<국내초청작>
장혜주
<국제공동작업>
한국+일본
(장혜주+Mitsutake Kasai)
8 PM
?
5.21
토
<해외초청작/네덜란드>
Ivgi&Greben ?
8 PM
강진주
김은정
임민희
김희중
?
4 PM
?
<국내초청작>
이주형
국지인
고흥균
?
?
6 PM
<국내초청작>
김경영
최영현
?
8:30 PM
5.22
일
?
?
<해외초청작/스위스>
Alias ?
?
?
6 PM
<국내초청작>
이주형
국지인
고흥균
4 PM
5.23
월
<해외초청작/네덜란드>
Ivgi&Greben ?
8 PM
?
김지혜
오창익
전예화
정상혜
?
6 PM
?
?
<국내초청작>
류석훈
홍동표,
8:30 PM
5.24
화
?
Spark Place# 2
김지혜
오창익
전예화
정상혜
8 PM
?
?
5.25
수
<해외초청작/이스라엘>
Suzanne Dellal Centre
8 PM
?
?
?
5.26
목
?
<국제공동작업>
한국+프랑스+일본
(남정호+원일+
Jean-Laurent Sasportes+
Saitoh Tetsu)
8 PM
?
?
5.27
금
<국내초청작>
김윤진
전미라
박해준
?
8 PM
<국제공동작업>
한국+프랑스+일본
(남정호+원일+
Jean-Laurent Sasportes+
Saitoh Tetsu)
6 PM
?
?
5.28
토
?
?
?
?
5.29
일
?
<해외초청작/프랑스>
Anna Halprin,
Anne Collod & guests
?
?
6 PM
<해외초청작/스위스>
Philipp Egli
<국제공동제작>
MODAFE(한국)+Antigel(스위스)
(신창호+Philipp Egli)
4 PM
?
?
이주형
The beginning
5.21(토) 6PM ? 5.22(일) 4PM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안무자 이주형은 모든 것을 ‘움직임화’ 시킨다. 현대무용이라는 기존의 어느 틀에서 그의 움직임은 마치 정답을 맞추듯 움직인다. 공간을 알고 몸의 코드를 읽어 내리는 그의 몸짓은 정확한 계산 아래 만들어진 노력의 산물이다.
그가 안무 한 작품들은 일반의 입장을 말하기 보단 (우리가 대부분 말하기로...) 이상하고 괴기스럽고 또는 망측하다고 여기는 ‘어글리한’ 모습들을 소재로 삼아 춤으로 해석 한다. 소재와 주제가 어떻든 간에 상관하지 않고 땀으로 진솔하게 말하려는 그의 순수한 ‘춤 욕심’은 그가 오랫동안 춤을 추고 좋은 작품을 만들 것이라는 믿음이 담겨 있다.
습기가 가득한 조그마한 욕실... 싸늘한 기운 아래 한 여자가 욕조에 누윈 채 체온이 서서히 식어 간다. 붉어진 얼굴을 식히려는지 세면대에서 폭력적으로 얼굴과 몸을 씻어 내는 남자의 코끝엔 아직 덜 씻겨 내려간 붉은 핏방울이 맺힌다.
이 남자의 숨소리뿐인 적막한 욕실에서 또 다른 남자의 웃음소리가 들려온다. 이 남자도 따라 미소 짓는다. 도대체 이 세 사람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 일까? 그리고 앞으론 또 어떻게 될 것인가? 우리는 항상 선택을 한다. 눈뜨기 싫은 새벽에 억지로 일어나 회사를 가기 위해서 알람시계를 끄는 순간조차 하나의 선택이다. 그 선택의 연속 속에서 우리는 반복이라는 과정을 거치고 그것을 익숙함이라는 일상으로 말한다.
‘습관’이라는 것이 그러하다. 본인 스스로가 의도하든 아니던, 내가 아닌 사회적 힘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든 간에 누구에게나 존재하는 것이 바로 습관이다. 만약 지금 당장 누군가 어떠한 일을 시작 한다면 기대와 흥분 또는 공포와 두려움 등이 교차 할 것이고 누군가로부터 또는 본인 스스로 에게 이런 말로 위로 할 것 이다. “익숙해지면 괜찮아 질 것이다. 습관을 들이면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라고. 똑같이 시작해 어려움을 겪고 시간이 흘러서 익숙해져 버린 능력, 지금은 습관이 되어 무던함이 돼 버렸지만 그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들은 좋은 습관이든 나쁜 습관이든 타인이 말해주기 전에 내 자신이 자각하지 못함이 대부분이다. 피해를 줄 것인가? 바꿔줄 것인가? 기다릴 것인가? 시작을 반복하고 습관이 만들어지는 과정 속에서 실패와 성공을 반복하며 일어나는 현상들을 스스로 또는 타인의 도움으로 이 작품을 통해 되돌아 보려 한다.
안무: 이주형
예술감독: 이진우
무대(세트)디자인: 박바른
의상: 홍유정
영상: 조주한
출연: 이주형, 박바른, 이경진,?오인향,?김은영?
국지인
적절한 자세
5.21(토) 6PM ? 5.22(일) 4PM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2009 MODAFE의 Spark Place 에서 신인상을 수상한 Han’s DC 소속 무용수이자 안무가인 국지인은 2010년 한국과 스위스와의 공동작업 『Tinizong』에 참여하면서 새로운 영역의 접근을 통해 더욱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안무자 국지인은 대학 재학 시절 (사)한국현대무용협회 콩쿠르에서 금상을 수상하는 등 재기 발랄한 현대무용계의 차세대 무용가로 주목 받고 있다.
그녀의 작품 모티브는 우리가 숨쉬는 일상적인 공간 속에서의 소소한 변화, 그 변화가 주는 신선함이 그녀 작품에서 새로운 움직임으로 표현된다.
오른쪽 다리를 왼쪽다리 약간 뒤로, 아니 조금만 더
2010.07.03 토 23:22
적.당.히.를 지키기란 어렵지.
아. 바람아 멈추어다오.
연출 및 예술감독: 한선숙
안무: 국지인
의상: 국지인
비쥬얼아티스트: 유은주
출연: 국지인, 이재희, 신미나, 유은주
?
고흥균
SUNDAY
5.21(토) 6PM ? 5.22(일) 4PM
대학로예술극장 소극장
젊은 무용가들의 안무모임으로 만들어진 MAZE dance company에서 활동 중인 고흥균은 스탠딩 힙합, 브레이킹, 재즈로 춤을 접하게 되었고 한국예술종합학교를 거쳐 안은미Company, 대구시립무용단의 단원으로 활동하면서 현대무용수로서의 꿈을 펼치게 된다. 2005 MODAFE에 일찍이 안무작을 내기도 하는 등 자신만의 캐릭터가 있는 춤을 개발하기 위해 꾸준한 고민과 활동을 해오고 있다.
쉰다라는 것이 편안함에서 멀어져 가고 있다.
햇빛 따듯한 날의 편안함은 이미 우리에겐 휴식을 주지 않는다.
우리의 "SUNDAY" 는 어디에 있을까?
?
안무: 고흥균
사진: 옥상훈
출연: 김동현, 남현우, 박소현, 김기범, 박시한, 정영민, 황지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