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 르브뤙 (프랑스)
FranKorean Tale
제 31회 국제현대무용제 모다페2012는 프랑스 뚜르 국립안무센터 예술감독인 토마 르브뤙(Thomas Lebrun)을 초청하고, 오디션을 통해 한국의 6명의 무용가를 선발하였다. 한국과 프랑스에서 각각 리허설을 가지고 모다페2012개막작으로 초연되며 이들의 작업은 한국과 프랑스간의 상호 교류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교류의 장을 넓히는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무대를 선보인다.
6명의 한국인 무용수들과 함께 하는 이번 작품에서 저는 프랑스와 한국에서 잘 알려진 이야기를 생각했습니다. 각국의 문화적인 정체성을 드러내는 대중적인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두 가지 민속 설화를 하나의 스타일에 모든 가능성들을 활용하면서, 그것들이 공존할 수 있도록 무대 위에서 춤으로 표현되고 춤 언어와 리듬, 억양으로 이야기됩니다. 추상적인 개념에 대한 서술은 장난스러운 이미지로 상쇄됩니다. 그것은 같은 무용수들로 두 가지 이야기를 따로따로 안무하고, 두 개의 우리 문화를 혼합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만드는 것처럼 이전의 두 가지 민속설화를 섞어서 하나의 새로운 내용을 만드는 것입니다. 물론, 이런 전례 없는 만남을 무용으로 표현할 수 있는 그런 공존이 즐겁습니다. - 토마 르브뤙 (Thomas Lebrun) 안무 노트
토마 르브뤙 (Thomas Lebrun)
Bernard Glandier, Daniel Larrieu, Christine Bastin, Christine Jouve, Pascal Montrouge와 같은 안무가들과 함께 무용수로 활동했던 Thomas Lebrun은 자신의 솔로작Cache ta joie !를 작업한 후에, 2000년, 자신의 무용단 Illico company를 창단했다. 노르파드칼레주 지역에 기반을 두고 그는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비바아르망티에르에서 처음으로 예술가로 활동을 시작했고, 릴의 무용안무센터에서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작업했다.
On prendra bien le temps d’y être, La Trêve(s), Les Soirées What You Want ?, Switch, Itinéraire d’un danseur grassouillet, and La constellation consternée는 근본적으로 다르지만 재치있는 세계가 자주 교차하는 작품들이다. 그것들은 극에 대한 고전적인 방식을 말하지만, 움직임은 거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토마 르브뤙은 스위스 안무가 Foofwa d’Imobilité와 Le show / Un twomen show를, 프랑스의 안무가 Cécile Loyer와 Que tal !를 함께 작업했다. 또한 그는 현대무용을 가르치며 Pantin과 Lyon의 프랑스 국립무용센터, 파리 콘세바투아, la Ménagerie de verre, 라로셀 국립무용아카데미, Porto Balletéatro 등의 가장 중요한 장소를 제공했다.
토마 르브렁은 또한 해외의 무용단 및 무용가들과 공연을 작업했는데 여기에는 Liaonning 중국국립발레단, 브라질에서 프랑스의 해를 기념하여 2009년 Grupo Tapias와 함께 한 one solo and one quintet, 빌뉴스에서 열린 2009 New Baltic Dance Festival과 컬처프랑스가 주관한 빌뉴스 프랑스무용 행사에서, 리투아니아의 무용가이자 안무가인 Loreta Juodkaité를 위한 솔로 작품 등이 있다. 2010년, 그는 64회 아비뇽 페스티벌과 SACD에 솔로작Parfois, le corps n’a pas de coeur로 초청받았다. 그는 2012년 3월, 슈베르트의 음악 La jeune fille et la mort으로 26살부터 62살까지 이르는 7명의 무용수, 1명 오페라싱어, 현악4중주단과들로 구성된 작품을 안무했다. 그는 2012년 1월부터 프랑스 투르의 국립 안무센터에서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안무, 연출 토마 르브뤙
출연 김정훈, 박경은, 우경희, 이강현, 이정오, 정수동
무대감독 김방근
조명디자인 김재억
의상디자인 김영삼
제작 Centre choregraphique national de Tours- direction Thomas Lebrun
공동제작 및 후원 Institut Francais, Conseil Regional du Centre, Modafe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