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무용협회가 주최하는 내일을 향하는 춤 <제32회 서울무용제>가 2011년 10월 31일(월)부터 11월 20일(일)까지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개최됩니다. 1979년 『대한민국무용제』로 처음 발족된『서울무용제』는 우수한 창작무용 공연을 통하여 한국 무용예술의 진흥에 기여하고자 설립된 무용제로서, 일부 장르에 국한된 공연이 아닌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를 망라한 전 장르의 무용 공연을 함께 즐길 수 있는 한국의 대표 무용축제입니다. 경연형식을 가미한 서울무용제는 예술인에게는 다양한 창작활동을 통해 무용계의 발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일반인들에게는 다양한 형태의 무용 공연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번 서울무용제는 10월31일 개막식 및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11월 1-2일 양일간 아르코 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초청공연(6단체), 11월 3일부터 6일까지 참가 부문 최우수단체상을 수상한 단체에게 내년도 서울무용제 본선 진출권을 부여하는 자유참가작 부문(6단체), 11월 8일부터 19일까지 경연대상 부문(8단체)이 진행되며, 11월20일 시상식 및 폐막식을 끝으로 축제의 대장정이 끝나게 됩니다. 올 가을 서울무용제를 통해 풍성한 문화예술을 즐기실 수 있을 것입니다.
[기획의도]
배강원 무용단(한국무용) <은하철도 999>
<프롤로그>
급속된 문명의 발전으로 기계화된 도시. 그 속에 인간이란 나약한 존재로써 살아가는 철이의 모습이 보인다. 무대는 그런 도시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살려고 하는 인간과 삶을 포기하는 인간들의 처절한 모습을 뒤로한 채 소년은 걸어간다.
<1장. 기계화된 지구>
반복되는 기계소리에 맞춰 나약한 인간들이 등장한다. 아이, 노인, 남자, 여자 할 것 없이 상자 안에 쌓여져 간다. 인간의 죽음으로 충격과 슬픔에 잠겨있던 철이는 우연히 메텔을 만나게 된다.
<2장. 철이와 메텔의 은하여행>
철이는 영원한 생명을 갖기 위해 기계 몸을 만들 수 있는 행성을 찾아간다. 철이는 메텔과 은하철도 999를 타고 은하계로 여행을 떠난다.
<3장. 영생의 행성>
힘든 모험을 거쳐서 결국 기계 몸을 만들 수 있는 행성에 도착하지만, 기계화된 몸이 결코 행복하지 않다는걸 깨닫는다.
<에필로그>
마지막 행성에 도착한 철이는 기계화된 인간을 애처롭게 바라본다.
기계와 인간의 몸은 생명의 무한성과 유한성이라는 중요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인간의 몸은 기계와 디지털 문명에 자신의 있을 곳을 빼앗긴다. 인간의 몸을 빼앗긴 다음은 무엇일까? 다음 희생자는 몸과 연결되어 있는 영혼이 될 것이라는 자명한 사실이다.
인간의 욕심 앞에 결국 인간의 존엄성을 철저히 무시되어가는 세상이다.
어릴 때 보았던 < 은하철도 999 > 는 단순히 철이와 메텔의 우주여행이 아닌 급속도로 변화하는 문명 세계 속에서 사라지는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질문을 다양한 시각에서 던지고 있다. 무용으로 풀어 본 이 작품은 애니메이션 <은하철도 999 >와 주제는 같지만 , 그 형식이 몸을 최전방으로 나선다는 점에서 또 다른 예술적 시도와 충격이 될 것이다.
기계와 인간, 육체와 영혼, 생명의 유한성과 무한성이 서로 교차하고 대비되는 과정을 통해 이 시대에 우리가 잃어가고 있는 것은 없는지 되짚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황문숙 현대무용단(현대무용) <사슴이 산다>
숲이 사라져간다.
이제 사슴은 도시에 산다.
사람이 주는 먹이와 사람의 언어, 그리고 사람의 행동을 닮아간다.
나약해지는 사슴들.........
그러나 그들은 뿔을 잘라내지 않는다.
언제가 돌아갈 숲을 위해.
이 작품은 몇 년 전 내가 북인도로 요가수련을 갔을 때 길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동물들의 모습에서 착안했다.
초원이나 숲속에 있어야 할 동물이 언제부터 인간들이 모여 사는 도시에서 쓰레기 더미를 뒤적거리며 살게 되었는지, 너무도 당연해 보이던 그 모습은 나에게 많은 생각을 갖게 하였다.
자연과 인간의 관계, 이기적인 욕심으로 인한 자연훼손, 자연의 복수····
우리는 이러한 문제에 관해 고리타분하고, 자신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문제로 치부하고 있지 않은가?
여기서 묘사되는 움직임과 장면들은 의인화된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시각화 시키는데 중점을 두어 표현하려 노력 했다.
자연의 생존본능에 관한 나의 생각이 어렵지 않게 관객들에게 전달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이범구의 리얼발레그룹(발레) <시간을 그리는 여행자>
무대의 어둠 속에서 한 사람씩 불을 켠다. 그들을 빛과 어둠에 대해 한 마디씩 던진다. 각기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또 같은...“너는 네가 어떤 사람인지 다 아는 것 같지? 아니, 넌 모르고 있어”무의식 속에 자리 잡은 편견,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일치되지 않은 나의 모순된 모습. 사람은 결코 스스로 존재할 수 없다. 다른 이들과 함께 관계하며 본인의 존재를 깨닫게 한다. 그러나 우린 너무 자신의 삶에 교만한 나머지 다른 이들을 돌아보지 못하고 모든 주위의 일들이 내 중심으로 이뤄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린 단1분도 앞도 못 보는 장님 아닌가? 그런 장님들이 모여 있는 거대한 현대 도시 속에 얼마나 많은 충돌이 존재하겠는가? 어쩌면 그런 충돌과 오류가 뒤얽힌 일상이기에 더욱 인간적인 연민이 드는 것은 아닐까.
살아남기 위해 고층 빌딩 아래 빽빽이 모여 살아가는 도시의 현대인들은 서로 가까운 곳에 있지만 너무나 동떨어진 타입으로 외로운 섬에 살아가는 것과 같은 서글픔을 안고 살아간다. ‘솔로’, 음악용어로 독주라는 뜻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나는 외롭다’의 화두로 전개시켜 본다. 현대인의 도시생활과 번잡스런 고민, 일상의 많은 문제들 어떻게 보면 개인주의화된, 자본주의에 점착된, 최고도로 발달한 도시문명의 문제인 것이라고 말한다. 행복하기 위해서 본연의 인간으로서의 즐거움과 삶의 의미를 찾고 느끼게 하기 위해서 발전하고 있는 현대의 도시 문명과 인간들의 모습인데 사실 내면은 황폐해있고, 나의 진정성은 무엇인지?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이며? 내가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인가? 라는 고민에 항상 빠져 있다. 내가 가장 되고 싶었던 모습이 지금의 나인가? 변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새로운 인생을 시작해야하는가? 고민에 끝이 없는 현대인들의 자화상이다. 그런데 이런 정신적, 사회적인 생각과 무게들을 내려놓다 보면 내가 아닌 너가 보이게 된다. 서로가 서로에게 도움 받고 의지 할 수밖에 없는 지극히 현실적인 관계, 상처를 줬던 인물들은 우연한 계기로 역전된 상황에서 다시 만나고 서로의 편견을 넘어서 구원이 되기까지 한 도시인의 이중적인 자화상에 대해서 그려보고자 한다.
[아티스트]
배강원
세종대학교 동 대학원 졸업 및 박사과정
제33회, 제36회 동아무용콩쿠르 수상
무등 신인무용제 대상
광주무용제 금상
주요안무작
무용-<나는 나는 죽어서도 파랑새가 되리>, <달콤한 인생>
연극-<서울 나마스테>, <러브차일드>
유선식
용인대학교 무용학과 졸업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무용학과 졸업
명지대학교 체육학과 박사과정
현) 명지대학교, 한성대학교, 백석대학교 강사
주요안무작 : [clap & march], [내가 원하는], [피그마리온의 조각들], [황소와 도깨비], [태양아래], [운동화를 신은 모차르트], [come over], [대화], [선물], [두발짐승], [생각의 흐름], [500?1=6], [붉게물들다], [다가서다], [join], [팝콘], [inplay], [소나기],
이범구
한국예술종합 학교 무용원 이론과 ? 실기과 복수전공 졸업
서울 발레씨어터 단원
프랑스 파리 국립 종합 음악무용 컨서바토리 guest student수료
프로젝트 그룹 Hello M performing art group 단원
現) 와이즈 발레단 객원 안무가, 리얼 발레 그룹 대표
주요 안무작 : <기억의 자리>, <그림자 놀이>,,<기억의 자리 ver.1-1>,<기억의 자리 ver.2>, <그림자 미로>, , ,,
?
?
???
?
?
* 초청공연(역대수상단체)
?
11월 1일(화)
1. 이은주 무용단 <西으로 가는 달처럼…>
2. 조주현댄스컴퍼니(발레)
3. BJ Dance GROUP(한국무용) <늑대의 달>?
?
11월 2일(수)
1. Contemporary Ballet Theater Ywan(발레)<826번째 외침>
2. 순헌무용단(한국무용)<물빛이 하늘빛을 담을 제…>
3. 서울현대무용단(현대무용)
?
?
* 자유참가
?
11월 4일(금)
1. 배강원 무용단(한국무용)<은하철도 999>
2. 황문숙 현대무용단(현대무용)<사슴이 산다>
3. 이범구의 리얼발레그룹(발레)<시간을 그리는 여행자>
?
11월 6일(일)
1. 김준기 댄스 프로젝트(현대무용)<두발로 서기>
2. 정형일 ballet creative(발레)<거울속의 거울>
3. 지구댄스시어터(현대무용)<4U4.0(For You 4.0)>
?
?
* 경연대상
?
11월9일(수)~10일(목)
1. 이태상 댄스 프로젝트(현대무용)_괴벨스의 입
2. 김은희 무용단(한국무용)_부사의방장(不思議房丈)
?
11월12일(토)~13일(일)
1. 김승일 무용단(한국무용)_소현(昭顯)
2. 정신혜 무용단(한국무용)_굿.Good
?
11월15일(화)~16일(수)
1. 춤.타래 무용단(한국무용)_사자(死者)의 서(書)
2. Ballet Turning Circle Company(발레)_The Tree
?
11월18일(금)~19일(토)
1. 댄스컴퍼니 더바디(현대무용)_시간 속의 기적
2. 이혜경&이즈음 무용단(한국무용)_여우못
?